Skip to Content

A Place Of Sublimity

2017 – 2024

내 작업의 시작은 인간의 부재다. 끔찍한 사고로 인해 인간 존재가 덩어리로 해체되는 순간을 목격 하였고, 주변인들의 사고사를 여러 번 겪은 뒤 나만의 방식으로 그들을 추모하고 위로하게 되었다. 그 사람들의 영혼이 있다면 그것들이 존재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을 설정하려 하였고 그 공간은 곧 숭고할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했다.

이후 초기 작품의 주제인 ‘부재’와 ‘죽음 그 너머’는 곧 현시 불가능 한 것 그 자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이러한 ‘현시 불가능 한 것’이 숭고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으며, 재현할 수 없는 그 너머의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숭고가 가진 특성을 이용하여 작품 안에 배치하였다.

작품 표현을 위하여 먼저 숭고성의 이미지를 찾았는데, 이때 성당과 교회 등의 실내 공간들과 대자연의 그 전체를 떠올리게 되었다. 특히 자연은 숭고를 불러일으키는 대상으로 판단내릴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였기 때문에 연작은 흰 캔버스 위에 자연을 표현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숭고는 결코 대상 그 자체가 될 순 없지만, 특정 장소나 대상은 분명 인간으로 하여금 숭고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다음 색을 덮어 올리는 과정을 진행하는데, 여기서 나는 색이 올라간 뒤 모호하게 드러나는 자연의 이미지에 주목하게 된다. 작품 안에 보일 듯 말 듯하게 비춰지는 이미지들은 관객에게 시각적인 불편함과 좌절을 경험하게 하고, 이는 숭고의 부정적인 특성과 관련이 있다. 또한 작품을 관람할 때, 멀리서보면 파란색 화면일 뿐이지만 거리가 가까워지는 순간 모호하게 드러나는 이미지들을 발견하기를 의도하였다. 작품에 사용된 짙은 파란색은 차갑고 스산하게 다가오며, 이 역시 숭고의 부정적인 특징과 연관성을 가진다. 색을 덮어 올리는 과정에서 얇은 레이어를 반복해서 올리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나 스스로의 추모의 퍼포먼스이며 몰입 행위로 이행하는 과정이다.

작품 안에 이러한 장치들은 ‘부재하는 것들’이나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며 시도이다. 결국 작품을 통해 표현 불가능하고 제시 불가능한 것들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려고 하였으며 숭고는 이러한 것을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되었다.

최근에는 ‘숭고’가 아닌 다른 키워드를 찾고 있는 중이며, 그 과정에서 제시되는 이미지들을 좀 더 일상적이거나 한국적인 이미지를 사용하는 등의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The starting point of my work is the absence of the human. I once witnessed the moment when human existence was fragmented into pieces through a horrific accident, and after experiencing several accidental deaths of those around me, I came to commemorate and console them in my own way. I imagined setting a virtual space where, if their souls existed, they could dwell—and I vaguely thought that such a space would be sublime.

The early themes of my work—“absence” and “beyond death”—soon developed into an interest in the very notion of the unrepresentable. I came to believe that the “unrepresentable” is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ies of the sublime, and I u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lime in order to express spaces that lie beyond representation.

To articulate this, I first sought images of sublimity, and I was drawn to the interiors of cathedrals and churches, as well as the vastness of nature itself. Nature, in particular, seemed to me the most representative image capable of evoking the sublime. Thus, my series began with depicting nature upon a white canvas. The sublime can never be the object itself, yet I believe certain sites or objects can undoubtedly evoke a sense of the sublime within us.

From there, I layered colors over these images, focusing on how nature’s forms emerged ambiguously once covered. These faint, half-visible images create a sense of visual discomfort and frustration for the viewer—an effect tied to the negative qualities of the sublime. I also intended for the experience of the work to change with distance: from afar, it appears as a flat blue surface, but upon closer approach, ambiguous images reveal themselves. The deep blue used in the paintings comes across as cold and eerie, further resonating with the negative dimension of the sublime. The repetitive process of layering thin washes of color became, for me, both a performance of mourning and a path into immersive practice.

These devices within the work are attempts to express “what is absent” and “what cannot be explained.” Ultimately, I sought to make visible that which cannot be represented or presented, with the sublime serving as one possible means to do so.

Recently, however, I have been searching for new keywords beyond “the sublime.” In this process, I am attempting expansions—employing more everyday or Korean images—to broaden the scope of what my work can sugg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