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머의 겹 展
2025
겸재정선미술관, 서울
나의 작업은 실재의 이미지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출발한다. 실존하지만 내가 직접 본 적 없는 장소들은 색과 이미지의 편집을 통해 허구가 되고, 그 허구는 다시 캔버스 위에서 또 다른 ‘너머’의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은 여러 번의 레이어링을 거치며 점차 지금-여기와 멀어지게 된다.
<A Place of Sublimity>(2017~2024)는 재현 불가능한 숭고한 공간을 탐색하려는 시도였고, 이어지는 <Beyond the Sublimity>(2025)에서는 숭고 너머의, 아직 언어화되지 않은 지점을 포함하고자 했다. 이후 실제 장소가 주는 의미는 중요하지 않게 되었으며, <송리적 사건(The Event of Song-Ri)>(2025)에서는 외부의 충격뿐 아니라 작업의 몰입 속 감각적 사건까지 포괄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나의 작업은 거대하고 보편적인 이야기에서 벗어나, 작고 사적인 결의 의미를 가진 레이어들의 층위를 구성하게 되었다.
결국 내가 그리고자 하는 너머의 공간은 현실 너머에 존재할지도 모를 다층적이고 양면적인 장소이며, 이렇게 표현된 지금의 화면 앞에서 현재의 자신과 너머의 어떤 지점이 교차하는, 설명할 수 없는 순간을 경험하기를 희망한다.
My work begins with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the image of reality. Places that exist in actuality but that I have never directly seen become fictional through the editing of colors and images, and this fiction, in turn, transforms on the canvas into another space of “beyond.” The space thus created undergoes multiple layerings, gradually distancing itself from the here-and-now.
A Place of Sublimity (2017–2024) was an attempt to explore a sublime space that cannot be represented, and in the following Beyond the Sublimity (2025), I sought to encompass a point beyond the sublime, a place not yet articulated in language. From then on, the meaning attached to actual places ceased to matter, and in The Event of Song-Ri (2025), I aimed to embrace not only external shocks but also the sensory events that emerge in the immersion of making. Through this process, my work moved away from grand, universal narratives and came to form strata of layers carrying small and personal meanings.
Ultimately, the “beyond” space I seek to depict is a multilayered and dual-sided site that may or may not exist beyond reality. I hope that before the surface expressed in this way, one may experience an indescribable moment in which the present self intersects with a certain point beyond.